[간화자총표 제3표] 氣/气 기운 기 [qì 치] 합체자
[간화자총표 번체/간체 정리 목록]
간화자총표(簡化字總表) 제3표(第三表)에 실려있는 간화자 1,753자 가운데서
氣/气 기운 기 [qì 치] 합체자 입니다.
氣 / 气
기운 기 [qì 치] (기운 기 氣 = 气(기운기엄), 총10획)
氣 = 气(기운 기) + 米(쌀 미)
기운 : 생물이 살아 움직이게 하는 힘, 삼라만상이 그 생김과 성격으로 있게 하는 힘.
愾 / 忾
성낼 개 [kài 카이] (마음 심 心 = 㣺 忄(심방변), 총13획)
愾 = 忄(마음심) + 氣(기운 기)
성내다 미워하다... 할때의 성내다
餼 / 饩
량식 줄 희 [xì 시] (밥 식 食 = 飠 𩙿, 총19획)
餼 = 𩙿(밥 식) + 氣(기운 기)
다른 사람에게, 특히 가난한 사람에게, 먹을 량식(糧食)을 보내주다... 할때의 량식을 주다
간화자총표(簡化字總表) 제3표(第三表)에 실려있는 간화자 1,753자 가운데서
氣/气 기운 기 [qì 치] 합체자 입니다.
氣 / 气
기운 기 [qì 치] (기운 기 氣 = 气(기운기엄), 총10획)
氣 = 气(기운 기) + 米(쌀 미)
기운 : 생물이 살아 움직이게 하는 힘, 삼라만상이 그 생김과 성격으로 있게 하는 힘.
愾 / 忾
성낼 개 [kài 카이] (마음 심 心 = 㣺 忄(심방변), 총13획)
愾 = 忄(마음심) + 氣(기운 기)
성내다 미워하다... 할때의 성내다
餼 / 饩
량식 줄 희 [xì 시] (밥 식 食 = 飠 𩙿, 총19획)
餼 = 𩙿(밥 식) + 氣(기운 기)
다른 사람에게, 특히 가난한 사람에게, 먹을 량식(糧食)을 보내주다... 할때의 량식을 주다
![[번체자 간체자 정리] 간체자 簡體字 简体字 간화자 簡化字 简化字 정체자 正體字 正体字 번체자 繁體字 繁体字 [번체자 간체자 정리] 간체자 簡體字 简体字 간화자 簡化字 简化字 정체자 正體字 正体字 번체자 繁體字 繁体字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glivIx5jgFSQqzNGbMlpgWpDstUoVgQFnzvFCZonf06CpAU-FulMCGqdF0nWObjruaWXoGIth3GK80b2Axlj35_WHtMW2MgftNtCIn0PGiZrzi0gHFul67xPcNAxk1fstet37t1bD5Y105MJ2yC__is7lFlNPSQLk6PcymbyO6XlAk-rys2YV0omqa/w320-h147/china-onabcdcom-ganhwaja-650x300.png)